img 태그
<img src="cat.jpg" loading="lazy"/>
이렇게 하면 유저가 실제로 이미지를 볼 때, 로딩함.
물론 이렇게 한다고, 무조건적으로 로딩 속도가 빨라지지는 않음.
그래서 srcset 및 size 속성을 사용한다.
srcset은 디바이스(장치)마다 출력 이미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음.
스마트폰이나 모바일 장치에서는 저해상도의 이미지를 로드할 수 있다는 것.
<img
srcset="cat-small.jpg 500w,
cat-medium.jpg 1000w,
cat-large.jpg 2000w"
src="cat-small.jpg" />
이렇게 3가지 사이즈의 이미지(cat)가 준비되어 있다는 걸 알리면,
셋 중에 어느 사진을 출력할지는 브라우저가 결정한다.
srcset 속성은 현재 시점 브라우저의 97프로가 지원하기 때문에 작동 안 할 리는 없는데,
그래도 혹시 모르니 기본적인 소스(src)도 적어둔다.
브라우저가 어떤 이미지를 출력할지 결정을 돕기 위해, 'size 속성'을 적어둘 수 있다.
<img
srcset="cat-small.jpg 500w,
cat-medium.jpg 1000w,
cat-large.jpg 2000w"
sizes="(max-width: 600px) 400px,
(max-width: 1200px) 800px,
1400px"
src="cat-small.jpg" />
뷰포트 너비가 600픽셀 이하인 경우, 이미지가 400px 너비로 표시되도록
뷰포트 너비가 601px~1200px 이하면, 이미지를 800px 너비로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.
이런 정보는 제공된 srcset 정보와 함께 가장 알맞은 사진을 선택해서 출력하게 만든다.
picture
이미지 로드의 결정권은 브라우저에 있지만,
개발자가 그 결정권을 가지고 싶다면 'picture' 태그를 사용하면 된다.
<picture>
<source srcset="/cat-vertical.jpg"
media="(orientation: portrait)">
<source srcset="/cat-horicontal.jpg"
media="(orientation: landscape)">
<img src="/cat-default.jpg">
</picture>
기타 내용은 영상으로 확인 고고
'frontend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인 페이지에서 서브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은 (0) | 2023.07.31 |
---|---|
가장 큰 박스 (0) | 2023.07.26 |
[필기] HTML 기초 (3) (0) | 2023.07.25 |
[필기] HTML 기초 (2) (0) | 2023.07.25 |
[필기] HTML 기초 (1) (0) | 2023.07.25 |
[강의정보] HTML/CSS 기초 - 짐코딩 (0) | 2023.07.25 |
fieldset로 묶기와 section으로 묶기 차이 (0) | 2023.07.24 |
드롭다운 코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. (0) | 2023.07.24 |